「성」이라는 한자는 「naru」 「sei」라고 읽습니다.

이 한자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초급편】 한자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이 한자는, 도구를 사용해 건물 등이 완성되는 모습을 2 개의 한자를 조합해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 못의 형태

・무라…

한자의 성립에서 의미를 예상할 수 있었습니까?

정답은… 「become

「성」은 주로 「naru」라고 읽어, 예문과 같은 장면이나 문장으로, 행위의 결과나 일이 정리해, 완성되는 것을 의미할 때에 사용되는 한자입니다.

예문

"내 아버지가 이룬 위업은 후세까지 전해질 것이다."

(Watashi no chichi ga nashitogeta igyō wa, kōsei made kataritsugareru darou.)

My father's accomplishments will be talked about for generations to come.

【중급편】「성」의 사용법을 알자

・성인식seijin-shiki

성인(seijin)이란 마음과 신체가 충분히 발달한 사람을 말합니다.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20 세 이상의 사람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성인식(seijin-shiki)」은, 그 해에 20 세를 맞이하는 사람들이, 공민관이나 홀에 모여 어른이 된 것을 감사해, 축하하는 행사입니다. 매년 1 월의 제 2 월요일은 「성인의 날(seijin no hi)」이라고 하는 공휴일이 정해져, 이 시기에 전국 각지에서 식전이 행해집니다.

「성인식(seijin-shiki)」은, 인생 속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4 대 의식 「관혼장제(kankonsōsai)」안의 「관(kan)」에 있어서, 옛부터 축하하고 싶은 「맑은 날(hare no hi)」로서 중첩되어 왔습니다.

「성인식(seijin-shiki)」은, 옛날 일본에서 행해져 온 「전복(genpuku)」과 「정착(mogi)」라고 하는 2개의 의식에서 유래합니다. 이 의식은 주로 상류 계급의 사람들 사이에서 통과 의례로 행해져 왔습니다. 「원복(genpuku)」이란, 12 ~ 16 세의 남자가, 머리를 어른용의 헤어스타일에 다시 묶어, 복장도 어른의 것으로 하는 의식입니다. "옷(mogi)"은 마찬가지로 12 ~ 16 세의 여자가, 어른이 허리로부터 아래로 착용하는 의복 "모(mo)"를 착용하는 의식입니다.

옛 의식이 현대의 「성인식(seijin-shiki)」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관련된 식전이 된 계기는, 1946 년에 사이타마현에서 개최된 「청년제(seinen-sai)」라고 하는 행사라고 말해지고 있습니다. 「청년제(seinen-sai)」는, 전후의 어두운 기분을 불식하고, 앞으로의 세대를 담당하는 젊은이들을 북돋워 가기 위해 행해졌습니다. 이 행사가 서서히 전국에 퍼져, 「성인식(seijin-shiki)」은 일반적인 것이 되었습니다. 지금도 옛날에도 어른이 되는 고비를 중시하는 문화는 변하지 않습니다.

예문

"성인식에서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은 인생을 즐기는 것 같아 안심했다."

(Seijin-shiki de hisabisa ni atta yūjin-tachi wa, jinsei wo tanoshinde iru yō de anshin shita.)

I was relieved that the friends I met for the first time in a long time at the coming-of-age ceremony seemed to enjoy life.

'성'과 비슷한 한자

일본에는 '성'이라는 한자를 닮은 구조의 한자가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한자가 있습니다.

· 戈 (호코)

양날의 검에 긴 무늬가 붙은 무기를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동갓(dōka)」라고 불리는, 지금부터 약 1,700 ~ 2,300 년전의 야요이 시대에 만들어진 청동의 대는, 히로시마현의 문화재로서 보존되고 있습니다.

· 戉 (masakari)

도끼 모양의 대형 무기를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큰 나무를 벌채할 때도 사용됩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동화의 하나 「킨타로(kintarō)」에서는, 주인공 「킨타로(kintarō)」가 큰 戉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戍(jyu/mamoru

무기 등을 가지고 공격으로부터 지키는 것을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현대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기회는 적은 한자이지만, 「성」이나 「戉」등과 잘못되기 쉬운 한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한자는 모두 '먼지가'라고 불리는 무기의 의미를 포함한 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이라고 하는 한자도, 무기 등을 사용해 건물을 완성하는 모습으로부터 성립한 것처럼, 한자의 부수를 보는 것으로, 본래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문

"박물관에는 고대부터 사용되고 있었다고 하는戉가 전시되어 있다."

(Hakubutsukan ni wa, kodai kara shiyō sa rete ita to sa reru hoko to masakari ga, tenji sa rete iru.)

The museum exhibits the dagger-axe and the broad-axe, which are said to have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상급편】「성」을 사용한 속담이나 관용구를 사용해 보자!

「성」은, 긍정적인 문맥이나, 완성하는 과정이나 완성된 모습을 전하는 문맥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한자입니다. 일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성」을 사용한 표현을 소개합니다.

· 이기면 된다 (nase ba naru)

비록 할 수 없는 일이라도, 강한 의지를 가지고 교환하면 반드시 실현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에도 시대 후기에, 「우에스기 타카야마(Uesugi Harunori)」라고 하는 인물이 「위로 하면 된다, 위 하지 않으면 되지 않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사람을 위해 깡패(Nase ba naru, nasane ba naranu nanigoto mo, naranu wa hito no nasanu)」라고 가신에게 전한 말에서 유래하고 있습니다. 아무 것도 도전하지 않으면 얻을 수 있는 것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말입니다. "위로 하면 된다(nase ba naru)"는, 좌우의 명으로서 자기소개에 사용되거나,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는 사람을 격려할 때에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위하면 된다고 하는 말을 생각해 봐. 좀 더 노력하면, 분명 지망교에 합격할 수 있어.」

(Nase ba naru to iu kotoba wo omoidashite. Mōsukoshi ganbare ba, kitto shibōkō ni gōkaku dekiru yo.)

Remember the saying that if you do it, it will definitely come true. If you work a little harder, you will surely be able to pass the school of your choice.

・실패는 성공의 기초(shippai wa seikō no moto)

실패해도, 그 원인을 추구해 개선해 나가는 것으로, 성공에 접근할 수 있다고 하는 의미입니다. 실패한 것을 그대로 두고, 방법과 사고방식을 개선하려고 하는 자세가 없으면 몇번이나 같은 실패를 반복해 버린다는 계명의 의미도 담겨져 있습니다.

예문

"그때 선생님이 실패는 성공 하겠다고 말했으니 이 그림을 그릴 수 있었습니다."

(Ano toki, sensei ga shippai wa seikō no moto to itte kureta kara, kono e ga egakemashita.)

At that time, my teacher said that failure was the source of success, so I was able to draw this picture.

・육성(ikusei)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키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많은 기업에서는, 자사에서 활약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인물을 기르기 위해서 인재의 육성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예문

"내 회사에서는 젊은 직원의 육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Watashi no kaisha de wa, wakate shain no ikusei ni chikara wo irete imasu.)

At my company, we are focusing on training young employees.

· 합성 (gousei)

둘 이상의 것을 합쳐 하나의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문

"이 도시의 풍경은 어떻게 봐도 합성 사진이야."

(Kono machi no fūkei wa, dō mite mo gōsei shashin da yo.)

The scenery of this city is a composite photograph no matter how you look at it.

・완성(kansei)

사물이 완전히 완성되거나 마무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문

"가족 모두에서 살 수 있는 큰 집이 마침내 완성되었다."

(Kazoku min'na de sumeru ōkina ie ga, tsuini kansei shita.)

A big house where the whole family can live has finally been completed.

「성」의 한자의 의미와 사용법을 소개했습니다. 일본의 한자의 독특한 표현이나 사용법에 흥미를 가진 분은, Let's Play KARUTA에서 다양한 한자의 의미나 성립을 보면 어떻습니까?